본문 바로가기
경전공부

[경전 독송] 우학스님 영인스님 정목스님의 금강경 독송 추천

by 화작 2024. 4. 4.

마음이 힘들 때나 산란할 때면 나도 모르게 경전 독송을 찾게 된다. 어렸을 적엔 반야심경이 좋았었다. 그런데 지금은 금강경에 끌린다. 108배를 하거나 경전을 사경하거나 독송을 듣거나, 모두 마음을 다스리는데 좋은 방법이다.

 

 

✅ 목차

금강경 사경
우학스님, 영인스님의 금강경 독송
정목스님의 우리말 금강경 독송
마치며

 

 

금강경 사경

 

어느 해 여름엔 금강경을 사경한 적이 있었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어디서 배운 것도 아닌데, 그냥 금강경 해설서(그때 잡았던 책이 법륜스님의 금강경강의 '금강반야바라밀경'이었다) 한 권을 잡고 씨름했던 여름이었다.

 

정독에 이어 책글메모, 그러고 나서 덤빈 것이 사경이었다.

30도를 오르내리던 무더위 속에 선풍기 하나 켜고 앉아, 금강경 전문을 사경했다. 그냥 한글 사경이 아니라 한문을 직접 쓰며 번역해 가며(사실 번역이라기보다는 뜻을 끼워 맞추는 것에 가까웠지만 어쨌든), 한 여름을 이열치열 몰입한 적이 있었다. 아래 공책은 그때의 흔적.

 

 

 

 

힘들 때였고, 달리 어쩌지 못해 한 일이었다.

그러면서 또 알게 된 스님들이 우학스님, 영인스님이다. 그리고 한참 지난 후, 또 정목스님의 우리말 금강경도 접하게 되었다.

 

영인스님, 우학스님, 정목스님의 금강경독송 썸네일

 

 

우학스님, 영인스님의 금강경 독송

 

 

먼저 우학스님, 영인스님의 금강경 독송을 모셔본다.

어찌 이리 노래하듯이 경전 독송도 구성지게 잘하시는지....

 

경전 독송도 타고난 리듬감과 음정, 박자감이 있어야 하는 것인가 보았다. 도무지 음치과인 나는 잘 안된다. 그러니 대신 듣는 즐거움에 만족할 밖에. 영인스님과 우학스님의 금강경 독송을 차례로 들어본다.

 

영인스님의 금강경 독송

영인스님의 금강경 독송은 아주 오래전, 어릴 적부터 들었던 바로 그 목소리다.

난 고등학교 때도 제법 경전 독송을 많이 들었었는데, 확인해보지는 않았으나, 바로 영인스님 목소리였던 것 같다.

구성진 목소리가 친근감을 더한다.

 

 

우학스님의 빠른 금강경 독송

 

 

우학스님의 독송은 빠른 독송이 매력이다. 함께 낭독을 이어주는 이들이 있어, 주고받는 리듬감이 마치 노래하듯 느껴진다. 자칫 스님 목소리에만 집중하다 보면 일부분 건너뛸 수 있어 유념해야 한다. 하여 구절 전체를 정확히 독송하고 싶다면, 귀를 쫑긋하거나 '화면을 보면서' 따라 할 것을 추천한다.

 

 

정목스님의 우리말 금강경 독송

 

 

정목스님의 우리말 금강경 독송을 알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정목스님은 이미 30여 년 전에 '목소리에 반해' 테이프가 늘어지도록 들었던, 테이프 제목이 뭐였더라? 기억나진 않지만, 많이 좋아했던 스님이었다.

 

'후박나무 넓은 잎사귀 후두둑~~~ 신불산 가지산~~~~" 읊어가시던 정목스님의 낭랑한 시낭독 느낌만은 지금도 생생하다. 그 스님이 이제는 시대의 흐름을 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신다. 유나방송이라는 채널로 한글 금강경을 독송한 것이 있는데, 여전히 낭랑하신 목소리로 맑은 울림을 주신다. 함께 모셔본다.

 

▼유튜브에서 보기를 클릭하세요! ▼

 

마치며

 

금강경 공부를 다시 시작하면서 함께 들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영인스님, 우학스님, 정목스님 세 분 스님의 금강경독송을 모셔보았다. 잠들 때나 걸을 때, 멍 때리고 버스, 지하철에 앉아 있을 때.... 귀를 향기로 채워줄 법음(法音)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금강경 해석] 제2 선현기청분 '수보리, 법을 청하다'-한문/한글/해석

 

[금강경 해석] 제2 선현기청분 '수보리, 법을 청하다'-한문/한글/해석

금강경 경전 공부 이어갑니다. 경전은 한문과 한글음, 그리고 해석으로 구성합니다. 덧붙여 법륜스님의 금강경강의 '금강반야바라밀경' 중에 나오는 주요 구절을 메모해 곁들입니다. 금강경에

simto.tistory.com

▼ [금강경 해석] 제1 법회유인분 '법회가 열리던 날'_한문/한글/해석

 

[금강경 해석] 제1 법회유인분 '법회가 열리던 날'_한문/한글/해석

금강경 경전 공부 시작합니다. 경전은 한문과 한글음, 그리고 해석으로 구성합니다. 덧붙여 법륜스님의 금강경강의 '금강반야바라밀경' 중에 나오는 주요 구절을 메모해 곁들입니다. 금강경에

simto.tistory.com

▼ 금강경 | 금강반야경 | 금강반야바라밀경-불교경전 이해하기

 

금강경 | 금강반야경 | 금강반야바라밀경-불교경전 이해하기

불교경전 중 대표적인 것으로 금강경이 있다. 금강경(金剛經)은 다른 말로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이라고도 불리는데, 금강경은 사위성 기원정사에서 수

simto.tistory.com

▼[불교공부] 사찰의 배치, 가람의 배치 上__산문을 지나며 |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 불이문, 그리고 수미산

 

[불교공부] 사찰의 배치, 가람의 배치 上__산문을 지나며 |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 불이문, 그리

명승대찰 절에 가면 첩첩이 문을 지납니다. 일주문, 금강문, 산천왕문, 불이문… 이름은 익숙한데, 막상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다른지 물으면 우물거리게 됩니다. 사찰에 들 때 지나게 되는 산문

simto.tistory.com

▼[불교공부] 사찰의 배치, 가람의 배치 上__산문을 지나며 |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 불이문, 그리고 수미산

 

[불교공부] 사찰의 배치, 가람의 배치 上__산문을 지나며 |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 불이문, 그리

명승대찰 절에 가면 첩첩이 문을 지납니다. 일주문, 금강문, 산천왕문, 불이문… 이름은 익숙한데, 막상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다른지 물으면 우물거리게 됩니다. 사찰에 들 때 지나게 되는 산문

simto.tistory.com

▼[불교공부] 사찰의 배치, 가람의 배치 上__산문을 지나며 |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 불이문, 그리고 수미산

 

[불교공부] 사찰의 배치, 가람의 배치 上__산문을 지나며 |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 불이문, 그리

명승대찰 절에 가면 첩첩이 문을 지납니다. 일주문, 금강문, 산천왕문, 불이문… 이름은 익숙한데, 막상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다른지 물으면 우물거리게 됩니다. 사찰에 들 때 지나게 되는 산문

simto.tistory.com

▼[불교공부] 사찰의 배치, 가람 배치 하(下) | 칠당가람

 

[불교공부] 사찰의 배치, 가람 배치 하(下) _ 절마당에 들어 | 칠당가람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불이문 지나 절마당에 들면, 산지가람이나 평지가람 할 것 없이 공통 사항이라 할 수 있는 탑과 금당, 승원의 배치가 눈에 들어옵니다. 사찰의 배치, 가람 배치 하(下) 편

simto.tistory.com

▼[불교공부] 하나의 기둥, 하나의 마음 '일주문(一柱門)' | 속리산 법주사 산문

 

[불교공부] 하나의 기둥, 하나의 마음 '일주문(一柱門)' | 속리산 법주사 산문

산사로 가는 길에 일주문이 있다. 하나의 기둥으로 된 문을 하나의 마음으로 통과해야 하는 門. 그 마음은 오직 불법과 진리로 향하는 마음, 지극한 일심(一心)이어야 한다. 일주문이란 일주문(

simto.tistory.com

▼[불교 공부] 금강역사가 지키는 사찰의 대문, 금강문 | 속리산 법주사 산문

 

[불교공부] 금강역사가 지키는 사찰의 대문, 금강문 | 속리산 법주사 산문

일주문을 들어서면서부터는 저절로 정갈한 마음이 된다. 일주문이 하나의 기둥에 세운 하나의 마음이어서 일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얼마를 걷다 보면 우락부락 무섭게 생긴 장사가 지키는 문을

simto.tistory.com

▼[불교공부] 산사 가는 길, 사천왕이 지키고 있는 사천왕문(천왕문) | 속리산 법주사 산문

 

[불교공부] 산사 가는 길, 사천왕이 지키고 있는 사천왕문(천왕문) | 속리산 법주사 산문

산사 가는 길은 겹겹의 산문을 지난다. 일주문 지나, 금강문 지나 다음에 만나게 되는 것이 사천왕문이다. 다른 말로는 천왕문이라고도 한다. 네 분 천왕이 모셔진 곳이라 이름이 사천왕문이다.

simto.tistory.com

▼[불교공부] '둘이 아니라 불이(不二)' 불이문에 들다

 

[불교공부] '둘이 아니라 불이(不二)' 불이문에 들다 | 사찰가는 길, 산문

사찰 가는 길, 저 절로 가는 길, 산문(山門) 시리즈 마지막 편, 불이문입니다. 진리는 둘이 아니라서 불이(不二), 모든 대립되는 것들이 실은 하나라는 불교의 이치, 불이문 공부 시작합니다. 목차

simto.tistory.com

▼[불교공부] 사찰(寺刹) 개념부터 시작하기 | 사찰 뜻, 죽림정사와 기원정사, 삼보사찰

 

[불교공부] 사찰(寺刹) 개념부터 시작하기 | 사찰 뜻, 죽림정사와 기원정사, 삼보사찰

사실 사찰 개념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절'은 종교를 떠나 우리 산하 곳곳에 자리하고 있어, 여행이나 관광에서 쉽게 만나게 되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절은 종교시설인 반면 관광

simto.tistory.com

▼[불교 비유설화] 불구덩이에 들어간 뱀 & 참깨를 볶아 심은 사나이 | 백유경

 

[불교 비유설화] 불구덩이에 들어간 뱀 & 참깨를 볶아 심은 사나이 | 백유경

일에는 순서가 있고 이치가 있지요. 바빠서, 혹은 욕심이 앞서서 꾀를 내다 도리어 일을 그르친 경험은 없는지요? 순리를 따라야 바르게 진행됨을 일깨우는 불교설화, 두 편 소개합니다. 『백유

simto.tistory.com

▼[불교] 마음의 밭같이

 

[불교] 마음의 밭같이

"마음이 모든 법들에 앞서가고, 마음이 그들의 주인이며, 마음에 의해서 모든 행위가 지어진다." 『법구경』의 첫 번째 게송이다. 이래서 불교를 마음의 종교라고 말하는 것 같다. 그런데 '그 마

simto.tistory.com

댓글